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내가 이 블로그에 DDJ 400을 포스팅 하고 어느덧 2년의 시간이 흘렀다. 2년이 흐르는 동안 파이오니어 DJ에서는 새로운 컨트롤러 라인업을 발표하기 시작했는데 바로 FLX 라인업니다. 흠칫 보면 별볼일 없는 업그레이드 일수도 있지만 그 속에는 정말 새로운 기능과 함께 디제잉도 시대가 변했다는 것을 장비에서도 보여준다. FLX4는 분명 갓 디제이에 입문한 초보자 또는 집에서 간단하게 작업하기를 원하는 홈 디제이를 타겟으로 한 장비인 만큼 이번에는 새롭게 변한점과 지난 모델인 400보다는 이 모델을 구입해야 하는 이유 몇가지를 함께 들어보자. FLX4의 외형만 두고 보았을때는 전작인 DDJ 400에 비해 외관상 정말 크..
디제이장비글을 쭉 쓰다보면 사실 장비는 다 고만고만하다. 비슷한 기능의 플레이어, 비슷한 기능의 믹서, 초보자가 쓰기 좋은 컨트롤러 어쩌구 저쩌구.. 거기에 더해 내가 실제로 사용해 본 실 사용기 및 장단점을 분석해보니 파이오니어사의 장비위주로 글을 쓰고 있지만 사실 세라토나 트랙터등을 활용하는 정말 많은 장비가 있고 나도 다 사용해보지 못한게 사실이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내가 실제로 운용하고 있는 장비중에서 꽤나 재미있는 녀석을 가져왔다. DDJ-XP2 단언컨대 제일 손맛좋은 녀석이다. DDJ-XP2의 역할은 엄연히 컨트롤러다. 즉 레코드박스에 물리면 실제로 퍼포먼스모드를 사용하여 디제잉을 할수도 있고, 이펙터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친구는 컨트롤러 또는 DVS의 애드온처럼 직접 노..
디제잉에 입문하고 나서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좀 괜찮은 장비를 사고싶기 마련인데,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디제잉 장비는 대체적으로 비싸다. 그냥 비싼게 아니라 너무너무 비싸다. 한편으로는 또 디제잉 장비는 비싸면 비쌀수록 돈값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장비를 살때마다 항상 보태보태병에 걸리게 된다. 오늘 소개할 DDJ 1000 이녀석도 그런녀석이다. 지갑사정이 얇은 사람들에게는 혹하게 하는 요소가 분명히 있고, 또 금액대비 가성비 나쁘지 않다. 그리고 딱 그만큼의 돈값을 하고있는 녀석이다. 필자도 이 장비를 1년동안 가지고 지문이 닳아 없어질때까지 사용해봤는데 나쁘지 않은 장비였고, 한계점이 분명한 장비였다. 그리고 외적으로 보이는 이 멋진모습(간지)는 떠나보낸 지금도 무시할 수 없다.사실 컨트롤러는..
디제이에게 있어서 또는 장비병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CDJ라는 장비는 누구나 가지고 싶어하는 장비가 아닐까 싶다. 하지만 신품구매가격이 300만원은 거뜬히 넘을뿐더러, 믹서와 함께 CDJ 1조를 구매해야한다는걸 생각해 봤을 때에는 신품가 약 1000만원에 해당되는 괴물같은 가격은 돈을 가진자만이 꾸릴수 있는 환상의 조합으로 다가온다. 이때문인지 모든 방구석 디제이의 로망인 CDJ셋 구매는 사실상 힘들고, DDJ 1000이나, XDJ RX모델을 집에 구비해놓는 경우가 대다수이다.(사실 이정도 장비로도 홈 디제잉은 무리가 없다.) 하지만 디제잉이라고 하면 역시 2덱 + 믹서를 두고 멋지게 플레이하는 모습이 로망이기에 XDJ 1000 MK2 는 현재기준으로 이런 니즈를 채워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고 생..
디제이를 하면서 제일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어떤 장비가 좋을까요? 디제잉 독학하려고하는데 장비좀 추천해 주세요 하는 것이다. 국내 환경에서 초보자들이 사용할만한 장비는 솔직히 많지 않다. 국내는 90%가 레코드박스, 나머지 10%가 세라토라고 봐도 무방한 환경이며, 특히 세라토는 일반적으로 턴테이블리즘을 위한 소프트웨어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EDM계열의 플레이는 거의 다 레코드 박스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레코드박스는 파이오니어DJ의 프로그램이므로, 결국 초보자가 사용할만한 장비는 파이오니어 사에서 발매한 장비 라인업이 제일 쓸만하다고 보면 된다.(턴으로 넘어가지 않는이상 결국 파이오니어DJ 사의 장비 라인업을 선택하게 될것이다.) 다른 경험있는 디제이 분들중에서 아닌데요? 다른 것도 쓸만한..